출처: http://steambread.tistory.com/15 [너찐빵 Blog]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이번엔 각종 웹사이트들의 개발환경(사용하고 있는 프레임워크, 언어, 라이브러리 등)을 알아내고 세계적으로 자주 쓰이는 개발관련 트렌드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각종 사이트들이 어떻게 어떤 기술로 만들어 졌는지, 나는 무엇을 사용하고 있는지 또 트렌드는 어떤지 알아보는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것같네요.
1. wappalyzer.com (크롬, 파이어폭스 확장프로그램)
wappalzer는 카테고리별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각종 기술들을 보여주고,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현재 자신이 보고 있는 페이지의 개발환경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 메인에 들어가시면 영어를 해석해보세요.
아래는 카테고리별 현재 가장 자주 사용 되는 기술들은 보여줍니다.
광고분야에서는 구글 애드센스가, 애널리틱스 또한 구글 애널리틱스, 블로그는 워드프레스 등등 현재 사용되는 각종 분야의 선두주자들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 보기 좋습니다.
이번엔 다운로드를 하여 사용해 보겠습니다.
현재 제 블로그 메인에서 설치된 확장프로그램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웹 서버는 아파치,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로는 Lightbox와 제이쿼리가 사용되었네요. JS관련해서는 굉장히 정확성을 띄고 있다고 하니 사용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builtwith
이 사이트는 위의 소개한 것과 유사합니다. 다른 점은 개발환경을 알아내기 위하여 직접 URL을 입력한다는 점 하나 입니다. 바로 확인을 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메인입니다. 오른쪽 위 혹은 가운데 text 입력 칸에 URL을 적고 검색을 하시면 됩니다. 검색하시면 아래와 같이 해당 URL 페이지에서 사용된 개발환경 기술 등을 적어줍니다.
wappalzer와 크게 다르지 않네요. 같은 사이트니깐 당연하겠죠. builtwith 또한 기술트렌드를 살펴 볼 수있습니다. 웹 개발 트렌드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웹서버 관련 트렌트를 살펴볼까요.
현재 웹서버는 Apache, nginx, IIS 순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종종 사용하면 현재 트렌드를 그래프로 보기쉽게 확인할 수 있겠네요.
3. stackshare
stackshare는 위의 사이트들과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바로 각 회사, 혹은 페이지관리자가 직접 stackshare에 사용 기술을 올린다는 점인데요. 자신의 개발환경과 기술을 공개하는 것이 약점이 될지 강점이 될지 저는 아직 잘 판단이 서지는 않지만 공개를 해준다면 저는 좋을것 같네요. 국내에서는 등록을 한 기업이 많지는 않지만 그나마 유명하고 많은 사람들이 알만한 앱이 한가지 등록이 되어있습니다. MOCI(모씨)인데요. 확인해 보시죠.
각종 사이트의 개발환경과 현재 개발계의 트렌드를 알아보고 즐거운 개발생활 되시길 바랍니다.
'코딩 > 지식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CSS/JAVASCRIPT 개념 정리 된 사이트 (0) | 2019.10.25 |
---|---|
포트폴리오 contact 폼 추가하기 - 플러그인 추천 (0) | 2019.10.25 |
[jquery] scroll fullpage animation 스크롤 페이지 (0) | 2018.10.23 |
패럴랙스 스크롤 관련 (0) | 2018.09.12 |
(펌) 네이티브앱 vs 웹앱 vs 하이브리드앱 장단점 비교 (0) | 2017.07.13 |